본문 바로가기
뉴스

바뀐 '대체공휴일 법'…앞으로 연휴는?

by 위시74 2023. 5. 30.
728x90
반응형

올해는 부처님 오신 날이 지난

토요일이어서 오늘까지 연휴였죠 대체

공휴일 법이 바뀌면서 이렇게 된 건데

언제 어떻게 바뀌는 거고 앞으로 이런

연유가 얼마나 되는지 따져보겠습니다

자 홍혜영 기자 대체공휴일은 대체

언제 생긴 거죠네 대체공휴일은 박근혜

정부 때인 2013년에 설날과 추석

연휴 어린이날을 대상으로 처음

시행되는데요

당시에는 공공기관만 적용됐습니다

그러다가 문재인 정부 들어

5인 이상 사업장은 모두 지키도록

법률로 정했고 대상도 삼일절과 광복절

등으로

넓혔습니다 여기에 윤석열 정부가

올해부터는 부처님 오신 날과

크리스마스도 추가한 건데요 이로써

1월 1일과 현충일을 뺀 모든

공휴일이 대체공휴일 대상입니다 자

그럼

법이 생기기 전에는 대체 공휴일이란 게

없었습니까네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임시공휴일을 정하긴 했습니다 예를

들어서 코로나가 한창이던

2020년에는 이 지친 국민의 위로하고

살린다는 차원에서

토요일이었던 광복절 뒤 월요일을

공휴일로 지정했습니다 하지만 불과 한

달 전에 확정돼서 미리 계획을 세우기

어려웠다는 불만이 나왔습니다 그런

면도 있을 수 있겠군요 이제 앞으로

있을 대체공휴일은 언제 입니까는 올해

대체 공휴일은 끝났고 내년에는 두

번이 있는데요 2월 설 연휴에

적용되고

5월 5일 어린이날도 주말이라

다음날인 월요일까지 쉽니다이

대체공휴일의 위력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해는 매후년입니다

2025년에는

삼일절이 있는 3월과

5월 10월 이렇게 모두 3번인데요

5월은 어린이날과 부처님 오신 날이

월요일인 5일에 겹치면서

화요일인 6일이 대체공휴일이 됩니다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이어서 2일에

휴가를 쓴다면 몇 세 연휴도

가능해집니다

특히 10월에는 금요일인 3일

개천절의 시작으로 일요일인 5일부턴

추석 연휴가 시작됩니다이 8일

대체공휴일이 발생하고 거기에

9일은

한글날이어서이 3일부터 9일까지

일주일 황금연휴입니다

금요일인 10일 하루 휴가를 낸다면

3일부터 12일까지 열흘도 쉴 수

있게 됩니다 아직 멀긴 합니다만

2025년 10월은 기억을 해야

되겠군요 공휴일을 추가로 지정하는

법안도

있죠네 그렇습니다이 5월 8일

어버이날을 공휴일로 지정하자는 법안은

여야 모두가 발휘했습니다 또

1976년

법정공휴일에서 제외된 un의 날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자는 법안과 또

어린이날과 현충일을

첫 번째 월요일로 정해서 주말에이어서

쉴 수 있도록 하자는 법안도

발의돼 있습니다 예 그런다 법안들이

통과될 가능성이 있습니까

여러 가지 변수가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산업계 입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고 또 근로자 입장에서도 중소

영세기업 근로자들이

참을 받을 소지가 있어서 좀 더

지켜봐야 합니다

휴일에 임금 상승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특히 영세한 기업일수록 어려움이 있고

또 휴일보다도 더 수입이 필요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도 있기 때문에

대체휴일이 마냥 달갑지 않게 생각할

수 있는

분들은 반길 일이지만 휴일이라고 다시

할 수 없는 근로자도 많고 또 그럼

대체 이런 언제 하지라는 걱정도 없을

순 없겠죠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