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엠폭스 증상

by 위시74 2023. 4. 15.
728x90
반응형

보통은

피부 병변이라고 표현을 하나요 피부에

좀 이상이 생겼을 때

의료기관을 찾아서 확진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다면은 그 피부에 그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까지의 시간이 좀

긴 질병이라고 할 수 있는 건가요

어느 정도 돼요 잠복기가 3주 정도까지 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지막에 어떠한

사람들로부터 노출이 되었는지 찾기가

어렵다는 게 첫 번째 어려움이고요 

두 번째는

초기 증상은 독감과 매우 유사합니다

근육통과 발열이 있는 그런 증상들이

이어지고 마지막에는 피부에 병변이

나타나는데 이 피부의 병변이라고 하는

것이

다른 질환과 특별하게 구별이 가는

상황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질환들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고

진단 검사를 통해서만 확인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더 관리가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섯 번째 확진자는 밀접 접촉자가

36명이었는데 아직은 의심 증상이

나온 경우는 없다고 하더라고요 아까

말씀드렸던 것처럼

잠복기가 매우 길기 때문에 아직까지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하나가 있고요 또 하나는 엠폭스

같은 경우에는 많은 분들이

코로나19와 비교를 많이 하시는데

코로나19보다는 전파 능력이 많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이 전파

능력을 결정하는 요소가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처럼 그냥

기침이나 이런 비말을 통해서 전파가

이루어지게 되면 전파가 훨씬 더 쉽게

이루어지거든요 하지만 엠폭스 같은

경우에는

매우 밀접한 접촉이 있어야지만 전파가

가능한 상황이고 그런 매우 밀접한

접촉이라고 하는 것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전파 능력은 조금 떨어진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매우 밀접한 접촉 그러니까

혹시 뭐 그 사람하고

피부 접촉이 있으면 옮는 건가요

어떻게 아 대부분은 책이나 피부에

병변에 직접 닿았을 때 가장 

감염력이 높다라고 알려져 있고요 그런

것 말고도

침구를 같이 쓴다거나 아니면

일상생활을 같이 하는 것만으로도

전파가 이루어진다라는 보고들도

있습니다 침구를 같이 써도 읽을 수가

있어요 왜냐하면 피부에 병변이 있고

피부에 병변에서

진물 같은 것들이 나오면 침구에 묻을

수가 있죠 거기에도 닿게 되면 전파가

이어질 수도 있는 거고요 또

일각에서는 또이

환자가

입속에 상처가 있을 경우에는 대화

중에도 옮을 수 있다 이런 또 우려도

있던데요 이런 전파 경로라고 하는

것이 가장 주된 전파 경로가 있는

것이고

다른 감염의 가능성은 항상 존재합니다

그래서

혈액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당연히 감염

가능성이 있는 것이고

생활을 같이 오랫동안 하는 것만 해도

충분히 전파 가능성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남3인조 사건배후 황은희,유상원부부  (0) 2023.04.15
부산 돌려차기 가해자 "나가면 배로 때려주겠다  (0) 2023.04.15
오늘은 블랙데이  (0) 2023.04.14
라비 탈퇴  (0) 2023.04.11
강릉산불 현황  (0) 2023.04.11

댓글